package main;
import main.caculate.Data;
import main.caculate.Data2;
public class Add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Data2 클래스를 객체 생성하면서!
// 두 정수 3과 5를 넘겨주면, 두 정수의 합을 저장하도록
// 하는 코드를 작성하세요.
Data2 data2 = new Data2(3,5);
data2.printInt();
// 두 더블형 실수를 넘겨주면, 두 실수의 합을 저장
Data2 data3 = new Data2(3.5, 4.6);
data3.printDouble();
// 두 문자열을 넘겨주면, 두 문자열을 붙여서 저장
Data2 data4 = new Data2("aa", "bb");
data4.printStr();
Data data = new Data();
int result = data.add(3, 5);
System.out.println(result);
// 두 실수(더블형) 더해서 화면에 출력!
double result2 = data.add(1.3, 1.2);
System.out.println(result2);
// 두 문자열 더해서 화면에 출력!
String result3 = data.add("aa", "bb");
System.out.println(result3);
}
}
package main.caculate;
public class Data2 {
int resultInt;
double resultDouble;
String resultStr;
public Data2(int x, int y) {
resultInt = x + y;
}
public Data2(Double x, Double y) {
resultDouble = x + y;
}
public Data2(String x, String y) {
resultStr = x + y;
}
public void printInt() {
System.out.println(resultInt);
}
public void printDouble() {
System.out.println(resultDouble);
}
public void printStr() {
System.out.println(resultStr);
}
}
멤버변수는 메소드 밖에서 선언된 변수고
로컬변수는 메소드 안에서 선언된 변수고
로컬변수는 함수가 끝나면 사라지므로 객체에 저장하고 싶으면 멤버변수에 대입해야 한다.
위의 예제는 생성자에서 두 변수를 받아서 멤버변수에 저장하고 프린트하는 예제다.
'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 상속받을 때, 부모클래스의 private 억세스는 제한된다. (0) | 2022.07.04 |
---|---|
자바 클래스 상속 (0) | 2022.07.04 |
자바 접근제어자와 getter setter함수 (0) | 2022.07.04 |
자바 클래스의 멤버변수에 데이터를 셋팅하는 방법 3가지 (0) | 2022.07.04 |
자바 생성자와 생성자 메소드 오버로딩 (0) | 2022.07.01 |